본문 바로가기
게임공략/Caesar3 (시저3)

시저3 공략 2번째 미션[브룬디지움]

by 깅궁 2023. 7. 2.
728x90

 

2번째 미션 브룬디지움 개요 인구 650명을 만들자

1단계 '시민'은 우물 건설(물공급) 치안소(화재 관리), 기술자근무소(토목), 종교(신전), 원로원(세금) 등을 건설하고 기본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생략하고 바로 2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2단계는 '사무관' 단계로 브룬디지움 입니다. 브룬디지움은 인구 650명을 달성하면 승리할 수 있는 미션입니다.

* 해당미션은 일정 조건이 되면 인구가 유입되지 않는 버그가 있으니,혹시 다음 미션으로 넘어가고 싶다면 첨부파일을 참조하길 바랍니다.

 

GRSN Mission 2.sav
0.07MB

 

 

 

조선일보 송동훈 문명탐험가의 " 로마브린디시" 참고

브룬디지움은 브룬디시움 혹은 브린디시로 불리우며, 아피아 가도를 통해 로마와 연결된 도시입니다.

 

브린디시움은 브린디시움 공방전으로 기원전 49년경 내전을 조기에 종결하려는 Julius Caesar와 Pompeius가 맞붙은 전투로 유명한 장소입니다.

 

* 그림: 조선일보 송동훈 문명탐험가의 "로마·브린디시"  2019.05.02. 03:23

 

 

 

 

 

 

로마에 대한 이야기는 간단하게 여기까지 하기로 하고,

시저3 도시 운영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도로>

시저3의 운영은 도로를 통해 공급된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어떻게 도로를 설계하느냐에 따라 작업자 혹은 일꾼이 원하는 장소로 다닐 수 있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교차로를 많이 만든다면 교차로에서 작업자는 랜덤한 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서비스가 랜덤하게 제공되면서

올바르게 도시 운영을 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차차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교차로를 가급적 생성하지 말 것)

 

 

 

 

서비스 건물에서 일꾼이 나와 주거지로 향하고, 서비스 건물에 일꾼이 채워지자 서비스 일꾼(학교의 학생)이 주변에 공급되는 모습

<시민 및 일꾼>

시민은 주택을 건설하면서 인구수가 늘어나고, 서비스 건물에서 일꾼이 나와 주택 근처를 지나가야지 서비스 건물에 일꾼이 공급되어 서비스 일꾼이 제공되는 구조입니다.

 

서비스 건물을 짓더라도 주변에 주택이 없으면 일꾼을 공급할 수 없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일꾼이 공급되어 서비스 일꾼은 서비스 건물에서 나와 주변을 배회하다 다시 서비스 건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러한 일꾼, 서비스 일꾼, 시민들은 모두 도로를 통해 움직이게 됩니다.

 

 

 

<서비스 건물>

그렇다면 이러한 서비스 건물에서 나온 서비스 일꾼들은 어떻게 나와 어디로 들어가게 될까요?

→ "서비스 건물의 1시 이후의 방향에서 나와 12시 방향으로 들어간다" 입니다.

 

이 내용은 위 글로서는 이해가 잘 되지 않고 흑다랑어님의 순환구조의 정립을 잘 읽어보시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guidegame/28846]

 

관련하여 제 공략에서는 순환구조에 대해 따로 설명하지 않고, 순환구조만 활용하여 모든 미션을 클리어 하고자 합니다.

 

 

 

 

우물로 주변에 물 공급 vs 주 저수지에서 수로관으로 근처 저수지로 연결한 뒤, 분수로 깨끗한 물을 공급 (W 단축키로 확인)

<물공급>

기본적으로 우물에서 공급이 가능하나 제한적이고, 강가 근처에 저수조를 설치하고(주 수원) 수로관을 이용해 도시 근처로 에 저수지로 물 공급을 한 뒤 물 공급가능 지역에서 분수로 주거지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서비스 건물은 목욕탕 외에 공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도시의 식량공급을 위한 구조

<식량>

식량은 농장에서 생성된 밀을 곡물창고에 보관하면 시장에서 곡물창고에 있는 밀을 가져와 주변 주택에 공급하는 구조입니다. 밀의 흐름: 밀농장 → 곡물창고 → 시장 → 주택

 

따라서,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3종류의 건물을 지어야 합니다. 

특히 곡물창고는 건물자체가 교차로로 판단되는만큼 도시에서 곡물 창고를 건설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물품 생산>

물품 생산경우 식량과 비슷합니다. 원료 생산소에서 원료를 생산하고 해당 원료를 작업장에서 가공해 저장소에 저장하는 구조 입니다. 원료는 점토, 목재, 철광, 대리석이 있고 점토로 도기를, 목재로 가구를, 철광으로 무기를 만들어 사용하거나 무역으로 판매하기도 합니다.

 

특히 도기와 목재는 주거지에 필요한 부분이니 식량과 같이 시장에서 저장소에 방문하여 해당 물품을 가져가 주변 주거지에 공급하곤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략 중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개략적인 설명을 여기까지 하고 2단계 브룬디지움 공략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브룬디지움 미니맵과 최종 미니맵

앞서 설명드린대로 모든 미션은 이중 순환구조로 클리어하고자 합니다.

이중 순환구조란, 서비스 건물과 시장을 하나의 순환구조로 만든 구조

 

게임을 시작하면 'P'를 눌러 정지하고 도로와 건물을 배치하고 시작하거나 '[' 버튼을 눌러 속도를 가장 낮춰 진행하기를 추천드립니다.

 

 

 

왼쪽 빨강색 라인은 시장,  파랑색 라인은 서비스 건물 순환구조 입니다.

이중 순환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위 사진과 같이 도로를 세팅하고 주거지와 서비스 건물들을 건설해 줍니다.

처음 도시를 세팅할 때, 도로 이후에 주거지와 치안소, 기술자근무소, 진료소(의사), 종교 등 기본적인 건물들은 건설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치안소를 건설하지 않아 화재가 발생

- 기술자근무소를 건설하지 않아 건물이 무너짐

- 신전을 건설하지 않아 신들의 분노를 삼(인구 750명 마다 한 세트식 건설)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건물을 지어주기 바랍니다.

 

 

도시에 주거지와 기본 서비스 건물을 건설한 모습

물론 도시의 일꾼이 없는데 서비스 건물을 짓는다면

일꾼이 부족해 서비스 건물이 가동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히 조율이 필요하기도 하고,

 

주거지가 과도하여 도시의 시민이 많다면 실업률이 올라가면서 이주민이 오지 않거나, 도시 분위기가 안좋아지는 등 영향이 있으니 실업률은 15%미만으로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실업률이 너무 높으면 서비스 건물들을 건설하여 조절할 수 있음)

 

 

 

저수지 이용가능에 따라, 우물을 철거하고 분수를 설치한 모습

게임을 진행하다보면 저수지와 분수를 사용하여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우물을 없애고 분수로 물을 공급해 봅시다. 분수 하나로 주변 주거지의 물을 공급하는 모습입니다.

(사막지역의 분수 공급범위는 다르기 때문에, 사막 지역 공략 시 다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단축키 W를 누르면 저수지 물공급 범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자주 이용하도록 합시다.

 

 

기타 서비스 건물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정원을 건설하여 주변 주거환경을 높일 수 있습니다.

목욕탕, 극장 등 다른 기본 서비스 건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까 이중 순환구조의 파랑색 라인에 배치되어야하니 잘 보고 서비스 건물을 건설합니다.

 

정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주거지 주변에 치안소 및 기타 주거환경에 방해되는 요소들이 있을 때,

정원이나 광장 등을 건설하여 주거환경을 좋게 바꿀 수 있습니다.

 

주거지의 주거환경은 주택의 발전과 연관이 있어, 높은 등급의 주택을 지으려면 주거환경 관리가 중요합니다.

(높은 등급의 주택은 높은 세금을 지출합니다., 물론 높은 등급의 주택이 디자인도 이쁩니다.)

 

 

 

산업시설을 건설할 수 있게 되어 원료 생산소, 작업장, 저장소를 추가로 설치한 모습

포럼을 만들어 세금을 징수하고, 원료 생산소에서 점토를 생산하고, 작업장에서 점토를 받아 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도기는 저장소에 저장되어 수출이나 주택 발전에 필요한 물품이 됩니다.

 

저장소는 건설하고 나면 우클릭을 눌러 들어가서 반드시 한가지 물품에 대해서만 보관가능하도록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온갖 물건이 쌓여 저장소의 역할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 근처에 있는 저장소에 도기 '물품 입수' 명령을 내려 놓았습니다. 시장에서 필요로하는 물건을 가지러 갈 때, 가까울수록 순환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같은 원리로 곡물창고도 시장과 가까운 곳에 건설하였습니다.

(순환근무 출발점과 가깝게 건설하여야 합니다.)

 

 

 

다른 도시와 무역이 가능하게 되어 무역로를 개통하는 모습

생산된 제품을 다른 도시에 수출하고 필요한 물품을 수입할 수 있는 기능이 오픈되었습니다.

위 사진 오른쪽을 보면 '카푸어' 도시에서 철을 수입가능하고, 쌀, 무기, 도기를 수출 가능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도기를 생산하고 있으니 도기를 수출하도록 합시다. 무역로 개통!(돈은 우리 도시에서 지불합니다.)

 

 

무역자문관 탭(단축키 '5')에서 도기를 수출하는 모습

숫자 '5' 키를 눌러 무역자문관에 들어가 '무역중이 아님' 탭을 눌러 도기를 수출하는 모습입니다.

'수출량이 0포대'라고 하여 0포대를 수출하는 것이 아니고

0포대를 남겨두고 수출하겠다는 의미이니, 물건을 수출할 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노동력 배치 탭(단축키 '1')과 수석자문관 탭(단축키 '=')

숫자 '1' 키를 눌르면 노동력 배치 탭이 나오는데 여기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1순위가 물공급, 2순위가 치안소(화재), 3순위가 토목(기술자 근무소), 4순위가 행정/종교(신전)을 하고 진행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저 4가지 종류가 활성화가 되어야 문제 없이 도시가 운영되기 때문입니다. 

 

'='키를 누르면 수석자문관 탭이 나오는데 간단한 도시의 정보를 위와 같이 제공합니다.

실업률이 17%나 되는군요. 서비스 건물을 더 건설하여 실업률을 낮춰줄 필요가 있습니다. 실업률이 높으면 사람들이 이주해 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타 기능에 대해서는 필요 시 추가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략 완성된 브룬디지움 도시 모습

인구가 500이 넘어가며 신전을 한 세트 건설해준 모습입니다. 신전을 저렇게 따로 짓는 이유는 두 종류의 신전이 공급되는 경우 초대형 인슐라이에서 소형 장원으로 넘어가면서 귀족 저택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때 노동 인구로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생각할 내용은 아니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그냥 신전은 인구수 증가에 따라 지어야하기 때문에 따로 신전만 모아서 건설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편의성)

 

 

 

인구 650명을 달성해 2단계 미션을 성공하는 모습

2단계 미션의 승리 요구조건인 인구 650명을 달성해 기술관으로 진급(승리)하는 모습입니다.

 

 

각 미션마다 요구하는 사항이 있으니, 잘 확인하여 미션을 진행하도록 합시다.

다음은 3번째 평화로운 지방 임무인 카푸아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LIST